2024/10 5

AI 데이터센터 산업 현황

한국 AI 발전을 뒷받침 해야 할 데이터 센터 산업이 전세계 28위에 머무르고 있다.과도한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땅값이 지나치게 올라 데이터 센터 산업 보급을 위한 경제성 자체가 아예 없다보니 이제 더 이상 데이터 센터를 수도권에 짓는 다는 것이 불가능해져 버린 상황. 1990년대 초 노태우 정권부터 아파트 건설로부터 시작된 불균형 한 산업 발달로 인한 폐해로 강남 아파트 한채가 무려 100억을 넘어가는 어이없는 시대에 무슨 AI 산업 진흥을 위한 수도권 데이터 센터 인프러 건립이 가능하겠는가? 이미 우리나라 산업에 기여는 커녕 막대한 해악만 끼치는 아파트 인프라 건설 산업은 국가적으로 폐기해야 할 때가 아닌가? 국토부의 현재 기능 대부분과 지역별 건설 인프라 물량을 따가는게 주업인 국회의 기능을 시급히..

생성형 AI 를 당황시킬만한 문제 출제

2024년 10월 2일 Scale Lab 에서 온 이메일의 타이틀이다. stumping AI 란 즉 생성형 AI 가 답변을 하지 못할 정도로 당황시키고 놀래킬 수 는 놀라운 질문을 제출해 보라는 것이다. $500K in prizes for stumping AI — submit your questions!이미 프리랜서 한국어 작가를 경험해 보신 분들은 훈련 기간 중에는 시간당 9.5달러, 훈련이 끝난 후 실무 기간에 시간당 31달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수 있을 것이다. 말은 시급 31달러이지만 배정해 주는 물량이 거의 없기때문에 프리랜서인 나로서는 욕 나오는 광고성 멘트로 보인다.하지만 예전에 스탠포드대학에서 진행했던 Q&A 인공지능에 관심을 가졌었기 때문에 호기심 삼아서 항공기 공학 분야에서 몇 개..

노벨 문학상 한담

최근의 분야별 노벨 상 수상자를 살펴보면, 세상 변화에 따른 K 문화 혁신이 작용하고 있지 않나 싶다. 노벨 문학상 수상은 정말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다. 대개 노벨 문학상 하면, 과거 남미의 작가가 수상했던 "고도는 돌아 오지 않는..."라든지, 사실 읽어 보았지만 뭘 썻는지 작자의 의도를 알수가 없었다. 그 보다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오히려 고래를 주제로 한 모비딕이라든지, 또는 어릴 때 많이 읽었던 해적을 주인공으로 하는 보물섬이나, 또는 세모 선장의 해저 이만리를 생각하면 읽어 볼만한 작픔이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국문학하면 70년대 교양과정 재학 시절이 생각나는데, 당시 국문학과 교수님 중 박동규 교수님이 아직 생각난다. 이 분은 우리가 잘 아는 자연 친화적인 서정 시인 ..

비빔밥, 잡채 및 모듬전 소개

요즘 외식 비용도 제법 비싸 편인데 그나마 한식당들이 줄어 들어 그 흔하디 흔하던 비빔밥과 잡채와 같은 음식을 먹기 조차 힘들어 지고 있다. 레스피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나물 종류가 여럿이어서 어느 가정이라도 이를 시장 봐 준비할 여력이 없어 보인다. 이미 옥션에서 반찬가게들도 문을 닫는 경우가 있어 찾는 사이트도 한번씩 변경되곤 한다. 아래 셰프 반찬 사이트 내용은 특정 반찬 가게 홍보를 위한 내용이 절대 아니라고 봐주시기 바란다. 가성비 차원에서 집에서 계란 후라이만 준비하면 비빔밥 해먹을 수 있는 서바이벌 식자재 정보로 참고하시길 바란다. 1. 비빔나물 5종 세트: 비빔밥은 맛 뿐 아니라 최고의 섬유질 성분을 포함하는 건강식임을 명심하자.                                  ..

먹방 2024.10.04

업데이트 된 생성형 AI groq.com 이 제정신 인지 확인해 보자.

8월 4일 공짜 생성형 AI 라마 3 을 groq.com 에서 사용해 본 후 2달이 경과한 지금 다시 groq.com 을 방문하였더니 많은 변화가 있었다. 2달전에는 모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으나 모델 선택 작업이 유료 API 사용으로 변경이 된 듯하다.  하지만 API 사용은 일단 coding 영역이므로 내버려 두고 그냥 Default  수준에서 다소 민감한 주제를 살펴보도록 하자.민감한 주제란 독도의 영유권 문제인데, 미국 중심으로 학습된 생성형 AI 의 경우 일본 국적에 찬성하는 의견을 주던 AI 놈들이 있었기에 이 문제를 짚어 보기로 한다.  한국말 좀 알아듣는다는군요.그 다음 단도직입적으로 유도성 질문이라 할 수 있는 독도 영유권을  물어보자.  영어 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