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18일 화요일 오후 엔진 룸 레이 아웃 작업을 시작하였다.
엔진 룸 레이아웃 작업에 포함되어야 할 섀시 부품은 진공펌프,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펌프. 전동식 워터 펌프, 차단 릴레이, DC/DC 컨버터 및 납 배터리들이다. 이미 마티즈 EV 제작에 성도 테크의 진공 펌프 제품을 적용한 결과 성능이 좋았으며 이 제품은 대학생들 자작 차에도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 시에 엔진 룸 후방에 충분한 공간을 활용하면 된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펌프는 evsource.com에서 구입한 제품으로서 가격도 비쌀뿐더러 순간 전력이 거의 800W급으로서 그 크기가 제법 커 장착 설계에 상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략 적인 위치는 파워스티어링 오일 탱크 근처가 제일 좋으나 실제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수 있으므로 정비가 가능하면서 설치가 용이한 공간을 찾아야 한다. 제네시스 실 사례에 있어 전동형 파워스티어링 펌프의 위치가 3차원적으로 복잡한 레이아웃을 형성하고 있음에 유의해볼 필요가 있다. 차단릴레이는 배선 구조 상 인버터 상단이 위치적으로 가장 좋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 구조를 만들어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인접해서 부착해야 하는 부품들로서는 인버터, 차단 릴레이 및 DC/DC 컨버터를 들 수 있는데 정비 성을 감안 인테그랄 형으로 하나의 구조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기적으로 주의할 점은 DC/DC 컨버터 출력의 그라운드와 DC/DC 컨버터 금속체 하우징간의 전압차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스위스 부루사 제품의 경우 하우징과 차체를 접지 시키면 안 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열 발산에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시중에서 판매하는 MeanWell 사 소형 DC/DC 컨버터를 구매하여 시험해 본 결과 하우징과 차체와의 전압 차이가 0.1V 미만으로 별 문제가 없었다. 현재 EV ART에서 이지트로닉스사의 1.5KW급 제품을 채용하고 있는데 하우징 접지 특성을 문의한 결과 별문제 없다는 회신을 받았다.
다음의 사진과 같이 현재 인테그랄 형으로 스케치를 마친 상태이며 그 다음 스텝으로는 3차원 CAD 작업을 통해 레이아웃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부품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기차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 ART 마티즈 EV 성능시험 (0) | 2012.09.27 |
---|---|
EV ART 클릭 전기차 레이아웃 디자인 : 10월 17-19일 코엑스 EV & Smart Car 2012 전시회 카운트다운 시작 (0) | 2012.09.22 |
EV ART 클릭 전기차 제작 재돌입 (0) | 2012.07.11 |
Landscape 형 디지털 시계와 아날로그 시계가 포함된 HTML/JavaScript 계산기:II (0) | 2012.01.02 |
온습도, 미세먼지 측정 및 ESP8266 NodeMCU WiFi 코딩 (0) | 201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