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코딩의 소중한 경험을 시작하고 싶으신가요?
이 책에서 해답을 찾으세요.
교보문고에서 절찬리에 판매중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upto here, commercial!______________________
프로 마이크로 아두이노 보드에서는 우노보드와는 달리 13번 디지털 핀에 붙박이 LED가 따로 없으며 PC와의 송수신(RX/TX) 과정에 깜빡이는 파워 LED 2개가 있을 따름이다. 하지만 타 아두이노 보드들과는 달리 이 2개의 LED를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자.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서는 17번 핀이 없는 반면 프로마이크로에서만 정의되며 파워 LED를 블링킹 시키기 위해서는 OUTPUT 즉 출력 모드로 설정한다.
loop() 문에서 digitalWrite() 명령에 의해 17번 핀의 디지털 상태를 교대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 사이에 TXLED0 과 시간지연, TXLED1 과 시간지연을 넣어두면 2개의 파워LED 들이 블링킹하게 된다.
현재의 코드는 2개의 파워 LED 들이 동시에 블링킹하는 경우이다.
반면에 2개의 파워LED 들이 일정한 시간 지연을 가지고 교대로 블링링킹 시키기 위해서는 macro 명령 TXLED1 과 TXLED0 의 위치를 바꾸어 주면 된다.
프로 마이크로 보드에서 13번 핀에 붙박이 LD 가 없지만 별도의 LED 설치 없이 17번 핀과 macro 명령을 이용하여 2가지 모드의 LED 블링킹이 가능하다.
첨부된 동영상을 참조하기 바란다.
2개의 LED 가 교대로 블링킹
2개의 LED 가 동시에 블링킹
promicro_builtin_LED_02
//Pro Micro Test Code
int RXLED = 17; // 아두이노 핀 설정
void setup() {
pinMode(RXLED, OUTPUT); // RXLED 출력모드 설정
Serial.begin(9600);
}
void loop() {
digitalWrite(RXLED, LOW); // set the LED on
TXLED1;
delay(100);
digitalWrite(RXLED, HIGH); // set the LED off
TXLED0;
delay(100);
}
'아두이노프로세싱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우노 코딩에 의한 L239D 모터 쉴드 DC모터 구동 RC카 주행 (0) | 2017.10.08 |
---|---|
ESP8266WiFi WiFiWebServer 아두이노 NodeMCU LED ON OFF 예제:I (0) | 2017.10.05 |
DHT11 아두이노 온습도 센서 측정을 위한 라이브러리 설치 (0) | 2017.09.26 |
눈에 초록색 LED 를 ON 한 지하 주차장의 길냥이 (0) | 2017.09.20 |
전기 상호 유도에 의한 인버터: 아두이노 듀티 입력과 트랜지스터(TR) 스위칭에 의한 DC 전압의 AC 변환 (0) | 201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