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2

ChatGpt 와 함께 하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서 LED 점멸 회로 배선과 코딩

이미 인공지능이 우리 인간 사회를 많이 잠식해 버린 듯 하다. 과연 나나 우리 인간들이 바로 지금부터 과연 어떤 활동을 하면서 살아가야 할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유튜브 방송을 청취하니 솔트룩스 이 경일 대표 왈 이세돌 기사와 알파고 바둑을 언급하면서 인공지능 바둑을 이기기 위해서는 인간과 인공지능이 한 조가 되어 대항하면 이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래서 착안한 것이 본 블로그의 출발 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아두이노 취미 코딩을 인공지능과 함께 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가 당장 chatGPT 와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 블로그 내용은 필자가 이미 아두이노 코딩에 관해서는 ChatGPT 얘 보다는 훨씬 다년간에 쌓은 경험이 많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ChatGPT 의..

조리돌림 질문에 의한 인공지능 특성 파악

인공지능 요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질문을 조리돌림식으로 던져 이놈들의 약점(?)을 파악해 보자. 1. Gemini 에게 질문gemini, chatGPT, anthropic 과 groq 의 특성을 비교하여 표를 만들어줘. 대답 결과를 보면 아니나 다를까 지놈이 가장 쪽쪽한 인공지능인 척 하네요.Gemini 지는 다중 모달리티(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에 달인이지만 chatGPT 같은 놈들은 쉬운 내용 즉 범용적인 것, 접근성만 쉽다는 둥 ... 아주 웃겨요. Anthropic 과 Groq 은 별 중요하지도 않은 특성만 지적해 강조하는군요. 지는 아주 능력이 있는데 groq 경우는 잠재력만 있다고 하네요. 정말 이기적이랄 수 있는 답변임.활용 분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