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TM32 보드를 설치하여 PC13에서의 붙박이 BLINK 예제가 성공적으로 작동되었다면 STM32 보드의 다른 위치 예를 들자면 PB4에 LED를 설치하고 on OFF를 해보자.
아두이노 우노의 디지털 데이터 핀에 해당하는 위치를 STM32 핀 배치도를 참고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아두이노 우노에서는 디지털 핀을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PORTB 또는 PORTC 명령 사용이 가능하지만 STM32F106C 에서는 이러한 명령 사용이 지원되지 않지만 오히려 pinMode() 명령이 지원된다.
PB5에 연결된 LED에 출력을 위해서 setup()문에서 pinMode(PB5,OUTPUT)를 설정한다. 한편 PB5 디지털 핀에서 LED를 on 하기 위해서 PB13에서처럼 직접 digitalWrite() 명령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PB5를 직접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키도록 레지스터를 set 및 reset 하도록 코딩한다.
GPIO_BASE-> BSRR=0b1 <<5 은 출력 핀으로 설정된 PB5 에서 레지스터를 set 시켜 와이어링 되어 있는 LED 회로를 on 상태로 만들어 준다.
delay(4000) 명령에 의해 on 상태를 4초간 지속한다.
GPIO_BASE-> BSRR=0b1 <<21 은 출력 핀으로 설정된 PB5 에서 레지스터를 reset 시켜 와이어링 되어 있는 LED 회로를 OFF 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지털 핀들을 선택하여 출력을 시킬 수 있다.
'아두이노프로세싱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cessing(프로세싱) 와이파이에 의한 아두이노 weMos 보드의 LED ON OFF 코딩 (0) | 2018.03.31 |
---|---|
2주면 포기할 당신을 위하여 “아두이노를 정말 시작해 보시려고요?” (0) | 2018.03.26 |
아두이노 32비트 STM32 보드 설치와 붙박이 LED ON OFF (0) | 2018.03.21 |
L239D DC모터 드라이브 IC, H브리지 모터 구동 회로, 모터 쉴드 (0) | 2018.03.21 |
아두이노 DHT22 온습도 I2C 인터페이스 LCD 디스플레이 (0) | 201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