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에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발전기 시스템에 관해서 살펴보자.
APU: Auxiliary Power Unit, 발전기
RAT: Ram Air Turbine, 외부 공기 흐름을 이용한 비상용 소형 백업 발전기
PTU: 유압 Power Transfer System
BLC: 항공기 날개의 Boundary Layer Control
ACARS: Aircraft Communications Addressing &Reporting System
항공기 개발 단계에서 항공기의 대부분의 세부 계통들을 시스템 통합, 신뢰성 시험 및 가혹한 shakedown 시험을 위해 지상에서 iron bird를 제작하여 시험할 필요가 있다. 그 대상은 렌딩기어, 항공전자시스템 , 유압장치, 비행제어(Flight Control)계를 포함한다. 엔진은 별도로 시험하며 아울러 항공기 장착 후 지상 시험이 있을 수 있다.
학습문제) 항공기 시스템 통합 차원에서 세부계통들의 신뢰성 시험 및 가혹한 shakedown 시험 대상인 항목들을 4가지 제시하여라. 랜딩기어,항공전자, 유압시스템, 비행제어 시스템
학습문제) 터보팬 엔진 시험도 iron bord 시험 대상인가?
학습문제) 항공기 날개의 리딩엣지 slat 및 트레일링 엣지의 플랩 조작 메카니즘은 iron bird 시험의 어느 항목들과 연관성이 있는가?
Flight Control Systems
https://www.flightliteracy.com/flight-control-systems-primary-flight-controls-part-one/
Flight Control 시스템은 주와 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주는 aileron, elevator(stabilizer), rudder를 포함하며 부는 flap, leading edge device, spoiler, trim 을 포함한다.
빼돌림 공기(bleed air)
항공기용 터보팬 엔진의 앞부분에 설치된 압축기로부터는 상당히 고압의 뜨거운 공기를 얻어낼 수 있다. 이 빼돌림 공기를 배관을 통해 뽑아 내어 항공기 케빈 공조 작업이나 또는 항공기 날개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deicing 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투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빼돌림 공기를 이용 소형 터빈을 돌려 필요한 동력을 얻어내고 충분히 감압 냉각되면 조종사의 호흡을 위한 살균된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러한 시스템을 ECS(environmental control system)시스템이라 한다.
랜딩기어
다음 사진은 2022년 7월 19일 오후 KF-21 의 초도 비행 장면으로서 랜딩기어를 접지 않은 상태에서 시속 400 km/h 속도로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물론 랜딩기어를 접지 않은 상태에서 항력이 크므로 초음속 돌파 비행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어떤 개발 비행기든 초도 비행에서 만큼은 랜딩 기어를 접었다가 펴지지 않아 동체 착륙을 해야 하는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랜딩 기어를 접지 않은 상태로 시험하는 것이다.
???
Under Construction ...
'우주 항공기 구조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음속 군용항공기 T-50/FA-50 개발사 (0) | 2023.07.24 |
---|---|
항공기 형상설계 (0) | 2022.05.29 |
항공기 구조 역학 (0) | 2022.05.27 |